상담이란 도움이 필요한 내담자와 잘 훈련 받은 상담자가 내담자가 처한 상황과 어려움에 대하여 바람직한 방향으로 문제를 해결해가는 모든 과정을 의미한다. 여기서 '좋은 상담자'란 어려운 이야기를 쉽게 풀어서 내담자가 소화할 수 있는 형태로 만들어 주는 사람을 말한다.
상담은 처음부터 내담자와 상담자가 목표를 가지고 만나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으로 전문성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구조화된 상담 과정을 가지고 있고며 기술적으로 진행된다. 유료로 진행되기 때문에 그만큼 내담자의 의지도 중요하다.
상담의 종류
- 대면 상담
비언어적 요소까지 확인이 가능하므로 가장 효과가 좋을 수 있는 환경의 상담이며 가장 이상적인 상담이다. - 비대면 상담
익명성이 보장되고 장소와 시간이 자유롭다. 대면 상담보다 비용이 저렴하다.
상담자에게 필요한 덕목과 기술
- 관찰력
사람들은 변화를 알아차리는 상대에게 쉽게 마음을 열고 속 이야기를 하기 시작한다. 때문에 사소한 변화도 잘 읽어내는 것이 중요하다. 자세히 보고 말로 얘기까지 하는 것이 핵심이다. - 분석력
교육 분석 기술은 심리/정신 분석학자를 지망하는 사람들이 이수해야 하는 필수 교육 과정이다. 심화된 과정으로는 상담자의 상담 수행을 감독 혹은 지도하는 수퍼 비전이 있다. - 민감성
내담자와 오랜 만남을 가지면서 내담자의 변화나 상황을 잘 알아차릴 수 있는 힘을 말한다. 관찰력과 분석력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 공감력
공감은 직접 그 사람이 되어서 느끼는 것, 역지사지이다. 특정 시점에 내담자의 안으로 들어가 내담자가 느끼는 감정을 고스란히 느낄 수 있는 기술을 말한다. - 전문성
전문성을 기르기 위해서는 끊임없이 배워야 한다.
공감과 라포의 차이
- 공감 : 특정 시점에 감정에 대하여 내담자의 안으로 들어가는 기술(역지사지)
- 라포 : 상담이나 교육을 위한 전제로 신뢰와 친근감으로 이루어진 인간관계
- 연민 : 모든 인간이 기본적으로 가진 감정을 함께 느끼는 것
- 상호 공감 : 상담자와 내담자가 서로 공감하는 것
'공부방 > MKYU' 카테고리의 다른 글
MKYU 디지털 튜터 #7 | 공감과 라포 (2) | 2021.10.18 |
---|---|
MKYU 디지털 튜터 #6 | 중년기 특징 (0) | 2021.10.17 |
MKYU 디지털 튜터 #4 | 인공지능(AI) (0) | 2021.10.15 |
MKYU 디지털 튜터 #3 | 빅데이터 (0) | 2021.10.14 |
MKYU 디지털 튜터 #2 |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디지털 사회의 특징 (0) | 2021.10.13 |
댓글